정부통합전산센터
NCIA 뉴스레터 -2014.04- World's best gocernment integrated data center
알쏭달쏭 IT 용어

Domain Name

   TCP/IP 네트워크에서 각 주 컴퓨터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메인(영역이라는 의미)이라는 논리적 집단 또는
    단위가 사용된다. 도메인은 호스트 소속 기관의 종류를 나타내는 도메인, 소속 국가(지역)를 나타내는 도메인, 도메인
    내의 세부 구분을 나타내는 부속 도메인 등 계층적으로 구성된다. 이 논리적 집단 또는 단위의 이름인 도메인 네임을
    각 호스트 이름의 일부로 조합해서 사용하는 이름 관리 서비스(name service) 시스템이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이며
    , 주 컴퓨터의 이름, 소속 기관의 이름, 기관의 종류를 나타내는 도메인 네임 및 소속 국가를 나타내는 도메인 등 보통
    4개의 단어를 마침표(.)로 구분하여 표현한 것이 각 호스트 고유의 이름이다. 이것은 호스트의 인터넷 주소(Internet
    address)와 같은 것으로, 도메인 네임 또는 FQDN(fully qualified domain name)이라고도 한다. 전자 우편(E-mail) 등
    인터넷상의 각종 서비스에 사용된다. 예를 들면, 데이콤 천리안의 도메인 네임은 ‘chollian.dacom. co.kr’인데, 이 경우
    ‘co’는 기관의 종류(회사/기업체)를, ‘kr’는 소속 국명(한국)을 나타낸다. 전자 우편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메인 네임에
    추가하여 개인의 ID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ID가 ‘skpark’이면 전자 우편 주소는 ‘skpark@ chollian.dacom.co.kr’이
    된다. 여기에서 @는 ‘앳(at mark)’라고 하며 영어의 ‘at’을 의미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흔히 ‘골뱅이’라고 한다.
    또 개인용 컴퓨터(PC)로 인터넷에 접속을 설정할 때에 호스트의 도메인 네임에 대응하는 ‘164.124.101.2’와 같은 고유
    번호인 IP 주소가 필요한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도메인 네임 서버에 의한 도메인 네임과 IP 주소의 변환이 가능하다.



Backbone

   ① 소규모의 구내 정보 통신망(LAN) 또는 지선 구내 정보 통신망(branch LAN) 상호 간의 통신량을 전송하는
      주요 전송로.
   ② 패킷 교환망에서 통신량의 대부분을 전송하기 위한 주요 전송로.
   ③ 광역 통신망(WAN)에서 주요 노드(major node)를 연결하는 고속 전용 회선.
   ④ 통신망 내에서 통신량의 대부분을 전송하는 케이블. LAN에서는 버스가 기간이 될 수 있다.



Back door

   프로그램 개발이나 유지 보수, 유사 시 문제 해결 같은 것을 위해 시스템 관리자나 개발자가 정상적인 절차를 우회하여
    시스템에 출입할 수 있도록 임시로 만들어둔 비밀 출입문. 트랩도어(trap door)라고도 한다. 원래의 의미는 그렇지만
    대부분의 경우 비밀문은 보안상 허점을 역이용하여 크래커들이 시스템에 침입한 뒤 자신이 원할 때 다시 침입하거나,
    권한 획득을 쉽게하기 위하여 만들어 놓은 일종의 비밀 통로를 의미한다. 비밀문 프로그램들은 시스템 관리자의 정상적
    인 보안 관리를 우회해 동작하기 때문에 수시로 패스워드를 변경하는 것과 같이 아무리 안전한 관리를 하더라도 지장을
    받지 않고, 또 대부분 침입 사실을 은폐하거나 흔적조차 남기지 않는다. 패스워드 크래킹, 체크섬, 타임스탬프, 로그인,
    서비스, 라이브러리, 커널, 파일 시스템, 부트블록, 프로세스 은닉, 네트워크 트래픽 같은 여러 종류가 있다.



 Background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에서 실시간, 또는 대화형의 우선 순위가 높은 작업의 처리 도중 남는 시간을 이용하여 우선
    순위가 낮은 작업을 처리하는 방식. 보통 입출력을 거의 하지 않고 중앙 처리 장치(CPU)의 계산만 많이 하는 프로그램
    들을 후선으로 돌리게 된다.


Ethernet switch

   이더넷용 스위칭 허브(hub). 10BASE-T용 제품에 대부분 사용되고 있다. 보통의 10BASE-T용 허브는 어떤 포트에서     받은 패킷을 모든 잔여 포트에 송출하도록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어느 한 단말이 송신하고 있을 때는 동일 허브에 접속
    된 다른 단말은 송신이 되지 않는다. 이더넷 스위치는 개인용 컴퓨터(PC) 등의 단말로부터 보낼 수 있는 데이터 프레임
    중 상대방 주소를 읽어서 해당 단말에만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광섬유 분산 데이터 인터페이
    스(FDDI)나 100BASE-T, 비동기 전송 방식(ATM) 등의 고속 구내 정보 통신망(LAN) 포트를 서버 접속용 대형 파이프
    (전송로)로 한 제품, 단말을 직접 접속하는 형식의 제품, 통상의 허브를 접속하는 형식의 제품 및 간선 LAN 구축용 제품
    등으로 분화가 진행되고 있다. 라우팅(routing) 기능을 내장한 LAN 스위치도 등장하고 있다.



HTML5

   Hypertext Markup Language 5.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3C)에서 개발 중인 차세대 웹 표준.
    이는 하이퍼텍스트 생성 언어(HTML)의 다음 버전으로 플러그 인 같은 것 없이 웹에서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도록 HTML을 발전시킨 것이다. 액티브 X나 플래시 플러그 인을 설치하지 않고 자바 언어와 웹 브라우저만으로
    웹 애플리케이션은 물론 고급 벡터 그래픽 기능까지 구현할 수 있다. 플러그 인 기반의 리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RIA)
    기술인 어도비사의 플래시, 마이크로소프트(MS)사의 실버라이트, 선 마이크로시스템스사의 JavaFX 등을 대체할 수
    있고, 모바일 기기에서도 개인용 컴퓨터(PC)의 풀 브라우징 경험을 그대로 느낄 수 있다.


   ※ 출처 : 한국정보화진흥원(NIA) 용어 사전

메인으로 바로가기
정부통합전산센터:042-250-5000,5114/광주정부통합전산센터:062-604-0114/서비스데스트:1577-0577 COPYRIGHT(C)2005 NATIONAL COMPUTING & INFORMATION  AGENCY ALL RIGHTS RESERVED. NCIA정부통합전산센터 바로가기 뉴스레터 메일 수신을 원하시지 않으면[수신거부]를 클릭해 주세요.